미투 운동의 여파
미투(Me Too) 운동이 2017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성폭력 피해자들이 용기 있게 자신의 경험을 폭로하는 계기가 되었다. 권력 구조 내에서 발생하는 성폭력을 고발하는 데 중점을 둔 이 운동은 가톨릭 교회 내 성폭력 사건들도 주목하게 만들었다. 교회는 오랫동안 성폭력 문제를 은폐해왔지만, 미투 운동의 영향으로 그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
가톨릭 교회의 은폐 문화
가톨릭 교회 내 성폭력 문제는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은폐와 권위주의 문화로 인해 드러나지 않았다. 성폭력 사건이 발생했을 때 교회는 이를 은폐하려 했고, 이러한 행위는 피해자의 고통을 가중시키며 교회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렸다. 성직자에 대한 비판이 금기시되는 문화는 피해자들의 목소리가 묵살되기 쉽게 만들었다. 성폭력 사건이 교회 내부에서만 처리되면서 공정한 법적 절차가 방해되고, 투명성이 부족하여 피해자와 사회의 신뢰를 얻기 어려웠다.
국내 사례: 천주교 수원교구
2011년, 천주교 수원교구 소속 한만삼 신부가 남수단에서 자원봉사자인 김모 씨를 성폭행하려 한 사건이 발생했다. 피해자는 오랜 시간 침묵했으나, 미투 운동의 영향을 받아 용기를 내어 사건을 폭로했다. 초기 교구의 은폐 시도 의혹과 더불어 사회적 비난을 불러일으킨 이 사건은, 교회의 구조적 문제점을 드러내는 사례가 되었다. 더욱 문제는 현재 가톨릭신문이 기존의 기사를 내리지 않고 있어 피해자를 계속해서 자극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 사례: 가톨릭 성직자 성폭력
일본에서도 가톨릭 성직자에 의한 성폭력 사건이 폭로되었다. 1977년 성폭행 피해자인 스즈키 하루미 씨는 40년이 지난 후 미투 운동의 영향을 받아 가해자인 신부와 사건을 은폐하려 한 주교구를 고발했다. 스즈키 씨는 미국의 성직자 성폭력 생존자 네트워크(SNAP)와 협력하여 일본 지부를 설립하고 대표로 활동하며, 성직자 성폭력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있다.
가톨릭 및 개신교 성범죄 인정 사례
프란치스코 교황은 수녀들이 성노예로 다뤄졌음을 공식 인정했다. 또한, 종교인 681명이 6년간 성폭력을 저질렀다는 기사도 있다. 이러한 사건들은 성범죄자에게 처벌이 당연하다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1802252239015
결론
미투 운동은 가톨릭 교회 내 성폭력 문제를 폭로하고, 교회의 구조적 문제점을 드러내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성폭력 문제와 이를 은폐하려는 시도는 건강한 사회를 형성하는 데 큰 장애물이다. 가톨릭 교회는 올바르지 않은 종교 관행을 반성하고 잘못을 인정하며, 모순되는 발언과 행동을 멈추어야 한다. 이는 교회의 진정한 개혁과 피해자들의 치유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6일 ‘ SBS 뉴스’ 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 방문 후 바티칸으로 돌아가는 비행기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일부 사제들의 수녀들에 대한 성폭력 사실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출처: 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