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천주교의 성지화 사업이 불교계와 가톨릭 간의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천진암과 주어사 등 불교 사찰들이 천주교 성지로 재구성되면서 불교계는 자신들의 역사와 문화가 소외되고 있다고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오랫동안 종교적 공존을 이어온 두 종파 간의 우호적 관계가 위협받고 있으며, 성지화 사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천진암은 본래 불교 사찰이었으나, 조선 후기 서학을 연구하던 유학자들이 머물렀던 곳으로, 이후 천주교 성지로 변모했다.
불교계는 이러한 과정에서 불교의 정체성이 지워지고 천주교적 상징물로 대체된 점을 문제 삼고 있다. 주어사 역시 유사한 역사를 겪으며 천주교 순례지로 변해 불교계의 반발을 불러왔다.
특히 천진암과 남한산성을 잇는 천주교 순례길 조성 계획은 불교계의 강한 반발을 초래했다.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당시 불교 승군들이 축조에 참여한 역사적 장소로, 불교적 의미가 크다. 그러나 천주교 측이 이를 순례길로 개발하려 하면서 불교 유산이 침해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천주교 성지화 사업에 국가와 지방 자치 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며 막대한 세금이 투입되고 있다는 점이다. 서울시는 ‘서울순례길’을 국제 관광지로 개발하는 데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천진암 성지화에도 공적 자금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특정 종교에 세금이 편중되면서 종교적 중립성이 침해된다는 비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종교적 갈등을 방지하고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종교적 공존을 위해 성지화 사업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정 종교의 역사만을 기리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교의 역사를 함께 기념하는 방향이 요구되고 있다. 천주교의 공존의식이 절실한 시점이다.